돌 전 아기 방, 몇 도가 적정일까? 낮밤 온습도 총정리

돌 전 아기 온습도 관리방법 - 썸네일

오늘도 아기 방 온도계를 몇 번씩이나 들여다 봅니다. 아기가 덥지 않은지, 춥지 않은지, 습도가 너무 높은 건 아닌지..  저희 집 아이도 생후 6개월 무렵, 자꾸 감기처럼 콧물을 흘리는데 병원에서는 이상이 없다고 그래서 너무 걱정이 많았어요. 결국 온습도계를 구입해 관찰해보니, 아기 자는 방의 습도가 35% 이하로 뚝 떨어져 있었더라고요.

돌 전 아기, 아직 체온 조절이 미숙하고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한 시기예요. 그렇다면 돌 전 아기에게 딱 맞는 적정 실내 온습도는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돌 전 아기의 체온 조절 특징

  • 피부가 얇고 수분 손실이 빠름
  • 땀샘이 아직 덜 발달되어 더위에 약함
  • 반대로 추위에도 자율적 반응이 약함

즉, 어른보다 훨씬 쉽게 체온이 올라가거나 내려가고 환경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생후 0~12개월 아기에겐 ‘조금 따뜻하고, 적절한 습도’의 환경이 매우 중요합니다.




돌 전 아기 평상시와 수면 시, 적정 온습도

구분 적정 온도 적정 습도
평상시(낮 활동 시간) 22~24℃ 40~60%
수면 시(밤잠, 낮잠 포함) 20~22℃ 50~60%

낮에는

  • 자연광과 통풍이 들어오도록 1일 1~2회 환기
  • 가습기로 습도 조절하되, 아기 코에서 1m 이상 거리 유지
  • 너무 두껍게 입히기보다 겹겹이 얇게, 땀나면 바로 갈아주기

잘 때는

  • 온도는 1~2도 낮춰 쾌적하게, 대신 이불은 가볍고 따뜻하게
  • 난방기 사용 시 건조 주의 → 습도는 50% 이상 유지
  • 발에 땀이 나는지, 등이 축축한지 체크



☀️ 여름철, 아기 방 온습도 관리법

여름이라고 방을 너무 시원하게 하면 오히려 감기나 배앓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특히 아기는 땀은 잘 흘리지만 체온은 잘 못 식히기 때문에 과도한 냉방은 금물!


여름 온습도 기준

  • 온도 : 23~25℃
  • 습도 : 45~60%
  • 체크 포인트 : 땀띠, 밤중 깨기, 찬 손발

관리 팁

  • 에어컨은 직접 바람 피하고, 26℃ 이상 설정 후 선풍기로 공기 순환
  • 낮잠·밤잠 시간에는 방 온도 24℃ 전후로 유지
  • 땀이 많으면 수건으로 닦고 마른 옷 자주 갈아입히기
  • 실내 습도 너무 높으면 곰팡이 위험 → 제습기 또는 에어컨 제습 모드 활용
  • 찜통 낮 시간대엔 외출 삼가고, 시원한 시간대에 환기



❄️ 겨울철, 아기 방 온습도 관리법

겨울에는 난방기 사용으로 온도는 올라가지만, 습도는 급격히 낮아져 아기들이 코막힘, 기침, 피부 건조를 겪기 쉬워요.


겨울 온습도 기준

  • 온도 : 21~23℃
  • 습도 : 50~60%
  • 체크 포인트 : 코막힘, 아침 콧물, 건조한 볼/입술

관리 팁

  • 온풍기·보일러 사용 시엔 반드시 가습기 병행 사용
  • 젖은 수건, 실내 물통 등 자연 가습도 도움됨
  • 난방기구는 수면 30분 전까지만 작동 후 꺼두기
  • 전기장판보단 온수매트 + 습도 유지 조합이 안전
  • 아침/저녁으로 방 창문 열어 짧게라도 환기



정리하자면

돌 전 아기, 특히 생후 0~12개월 시기 체온 조절 능력 미숙, 작은 환경 변화 몸이 빠르게 반응
낮에는 22~24℃, 습도 40~60%
잘 때는 20~22℃, 습도 50~60%
여름엔 과냉방 주의, 겨울엔 가습과 보온의 균형에 유의해 주세요.
완벽하게 관리하진 못해도 괜찮아요. 하루 한 번만이라도 아기 방에 공기를 느껴보고 온습도를 조절해주세요.



띠용빠

육아 2년차 아빠, 2024년생 첫째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일반 회사원이지만 지금은 육아휴직 후 하루 24시간이 육아와 함께 흘러가고 있답니다. 밤낮 없는 육아 속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