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한가운데 있는 8월 15일, 광복절! 보통은 다들 가족 나들이나 휴식을 계획하지만... 아프거나 다치면? 그날이 바로 공휴일이라면 더 당황스럽죠. 동네 병원에 무작정 돌아다녔는데, 줄줄이 문 닫은 병원 문을 보면 정말 멘탈이 흔들릴 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오늘은 광복절 같은 공휴일에 병원과 약국을 찾는 초간단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경험에서 우러난 꿀팁까지 같이 드립니다.
공휴일 진료 병원 찾는 법
1. 정부 공식 사이트 ‘응급의료포털 E-Gen’
-
홈페이지 : e-gen.or.kr
-
검색창에 지역, 진료과목, 진료일 입력
→ 응급실, 입원실 운영 여부와 진료시간이 표시됩니다. -
필터에서 ‘현재운영기관’만 체크하면 바로 현재 진료중인 병원도 확인 가능하구요.
-
지도로도 검색할 수 있어서 위치 기준으로 찾기 쉬워요.
💡 검색할 때 시·군·구만 넣지 말고 ‘동’까지 세부 지역 입력하면 훨씬 가까운 곳이 나와요.
2. 119로 전화 또는 ‘응급의료정보제공’ 앱
-
119에 전화 → "근처 공휴일 진료 병원 알려주세요"라고 하면 바로 안내해줍니다.
-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은 실시간 업데이트라, 문 닫은 병원 뜨는 일이 거의 없어요.
💡 앱 설치 후 ‘즐겨찾기 병원’을 미리 저장해두면 급할 때 바로 전화 가능.
공휴일 운영 약국 찾는 법
1. 휴일지킴이약국
-
홈페이지 : pharm114.or.kr
-
지역 선택 후 검색하면, 현재 영업중인 약국 리스트와 운영시간까지 표시됩니다.
추가적으로 비대면처방, 공공심야약국, 동물약국까지 확인 가능합니다.
-
전화번호도 바로 떠서 약 준비 상태나 대기 여부 물어볼 수 있어요.
2. 네이버/카카오 지도에서 ‘공휴일 약국’ 검색
-
검색창에 ‘공휴일 약국’ 입력 → 필터에서 ‘영업 중’ 선택.
-
지도에 바로 표시돼서 동선 짜기 좋아요.
💡 대형마트 내 약국은 공휴일에도 종종 운영하지만, 점심시간 휴무 있는 경우 많으니 꼭 전화 확인!
진짜 급할 때는 이렇게!
-
119 → 가장 빠른 방법
-
근처 대학병원·종합병원 응급실로 바로 이동
-
아이·어르신이면 무조건 의료 상담 먼저 (1339 보건복지부 콜센터)
Q&A
Q1. 광복절에도 응급실은 다 운영하나요?
A. 네, 응급실은 365일 24시간 운영합니다.
Q2. 아이가 열이 심한데 꼭 응급실 가야 하나요?
A. 고열(39도 이상) 지속, 호흡곤란, 의식저하 시 바로 응급실 권장입니다.
Q3. 공휴일 약국 가격은 평일이랑 다른가요?
A. 동일합니다. 단, 응급실 처방전은 응급가산금이 붙을 수 있어요.
Q4. 야간 운영 약국도 찾을 수 있나요?
A. 네, 약사회 사이트와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에서 ‘심야 운영’ 필터 선택하면 됩니다.
✅ 오늘의 핵심 정리
-
‘응급의료포털 E-Gen’ + ‘휴일지킴이약국’ = 병원·약국 찾기 끝
-
119, 1339 전화로도 바로 안내 가능
-
미리 즐겨찾기 병원·약국 저장해두면 급할 때 덜 당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