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경기도 시군별 출산지원혜택 총정리 : 지원금액 및 추가혜택까지

2025년 경기도 시군별 출산지원혜택 총정리 썸네일

안녕하세요. 아이의 탄생을 준비하며 이것저것 준비하다보면 조금씩 금전적으로 부담되기 마련이죠. 2025년 초저출산 시대에 맞춰 국가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출산 장려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개선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경기도 최신 시군별 출산지원 혜택에 대해 총정리하고 지원금액과 추가헤택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요약까지 해드리겠습니다. 꼭 확인하시고 혜택 놓치지 말고 지원하세요!


2025년 경기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가평군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현금 50%, 가평사랑상품권 50%)
  • 둘째 : 400만원 (200만원*2년 / 현금 50%, 가평사랑상품권 50%)
  • 셋째 : 1,000만원 (200만원*5년 / 현금 50%, 가평사랑상품권 50%)
  • 넷째 이상 : 2,000만원 (200만원*10년 / 현금 50%, 가평사랑상품권 50%)

    ※ 기타 혜택 : 출산 축하목 지원


고양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200만원 (일시금)
  • 셋째 : 300만원 (일시금)
  • 넷째 : 500만원 (출생시 300만원 +1년 후부터 분기별 분할 지급)
  • 다섯째 이상 : 1,000만원 (출생시 300만원 +1년 후부터 분기별 분할 지급)

    ※ 기타 혜택 : 탄생축하 쌀케이크, 다복꾸러미(셋째 이상)


과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150만원 (일시금)
  • 셋째 : 300만원 (2회 분할 지급)
  • 넷째 이상 : 500만원 (4회 분할 지급)

    ※ 기타 혜택 : 임신축하금, 출산축하용품


광명시 출산지원금

  • 출생아 당 70만원

    ※ 기타 혜택 : 첫돌 50만원(지역화폐), 아이조아붕붕카, 쓰레기봉투지원


광주시 출산지원금

  • 출생아 당 100만원

    ※ 기타 혜택 : 다자녀 양육비 (셋째 이상 20.9만원*12개월)


구리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만원 (일시금)
  • 셋째 : 2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300만원 (일시금)


군포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300만원 (일시금)
  • 셋째 : 5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700만원 (일시금)


김포시 출산지원금

  • 둘째 이상 : 100만원

    ※ 기타 혜택 : 임신축하금(50만원)


남양주시 출산지원금

  • 출생아 당 : 100만원 (남양주사랑상품권)


동두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150만원 (일시금)
  • 셋째 : 25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500만원 (200만원+300만원 / 2년 분할 지급)

    ※ 기타 혜택 : 출산축하용품, 돌축하용품


부천시 출산지원금

  • 넷째 이상 : 700만원 (출생시 200만원, 1년 후 500만원 10회 분할 지급)

    ※ 기타 혜택 : 출산축하선물, 출산축하 축산물꾸러미 


성남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만원 (카드형 지역화폐)
  • 둘째 : 50만원 (카드형 지역화폐)
  • 셋째 : 100만원
  • 넷째 : 200만원
  • 다섯째 이상 : 300만원

    ※ 기타 혜택 : 다자녀 양육수당 (셋째 이상 / 0세~7세)


수원시 출산지원금

  • 첫째 : 없음
  • 둘째 : 50만원 (일시금)
  • 셋째 : 200만원 (일시금)
  • 넷째 : 500만원 (일시금)
  • 다섯째 이상 : 1,000만원 (5회 분할 지급)


시흥시 출산지원금

  • 첫째 : 없음
  • 둘째 : 50만원 (일시금)
  • 셋째 : 1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800만원 (200만원*4년)

    ※ 기타 혜택 : 시흥시 산후조리비 (지역화폐 40만원)


안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300만원 (일시금)
  • 셋째 이상 : 500만원 (일시금)

    ※ 기타 혜택 : 출생축하용품


안성시 출산지원금

  • 출생아 당 : 100만원 (일시금)

    ※ 기타 혜택 : 출생축하선물


안양시 출산지원금

  • 첫째 : 200만원 (2회 분할 지급)
  • 둘째 : 400만원 (2회 분할 지급)
  • 셋째 이상 : 1,000만원 (4회 분할 지급)

    ※ 기타 혜택 : 임신축하금


양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둘째, 셋째 : 없음
  • 넷째 : 200만원 (2회 분할)
  • 다섯째 이상 : 700만원 (4회 분할)

    ※ 기타 혜택 : 종량제봉투 지원(20리터), 출생아기념품


양평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만원 (125만원*4년)
  • 둘째 : 500만원 (125만원*4년)
  • 셋째 : 1,000만원 (250만원*4년)
  • 넷째 이상 : 2,000만원 (400만원*5년)

    ※ 기타 혜택 : 양평군 산후조리비


여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500만원 (100만원*5년)
  • 셋째 이상 : 1,000만원 (200만원*5년)

    ※ 기타 혜택 : 여주시 산후조리비, 다자녀 장려금 (셋째 이상 / 월 5만원 / 0세~6세)


연천군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2회 분할)
  • 둘째 : 200만원 (2회 분할)
  • 셋째 : 500만원 (5회 분할)
  • 넷째 이상 : 1,000 (5회 분할)

    ※ 기타 혜택 : 출산축하용품


오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20만원 (일시금)
  • 둘째 : 50만원 (일시금)
  • 셋째 : 300만원 (3년 분할 지급)
  • 넷째 이상 : 600만원 (3년 분할 지급)


용인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만원 (일시금)
  • 둘째 : 50만원 (일시금)
  • 셋째 : 100만원 (일시금)
  • 넷째 : 200만원 (일시금)
  • 다섯째 이상 : 300만원 (일시금)

    ※ 기타 혜택 : 임신지원금(30만원 지역화폐)


의왕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200만원 (일시금)
  • 셋째 : 3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500만원 (일시금)

    ※ 기타 혜택 : 임신축하금, 의왕시 산후조리비


의정부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만원 (일시금)
  • 둘째 이상 : 100만원 (일시금)


이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지역화폐)
  • 둘째 : 200만원 (지역화폐)
  • 셋째 : 300만원 (지역화폐)
  • 넷째 이상 : 500만원 (지역화폐)

    ※ 기타 혜택 : 다자녀가정 양육비 (셋째 이상 / 월 5만원 / 만1세~만6세)


파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출생시 10만원, 1년 후 90만원)
  • 둘째 : 200만원 (출생시 30만원, 1년 후 170만원)
  • 셋째 이상 : 300만원 (출생시 100만원, 1년 후 200만원)

    ※ 기타 혜택 : 파주시 출산조리비


평택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20만원 (일시금)
  • 셋째 : 3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500만원 (일시금)


포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300만원 (일시금)
  • 셋째 : 500만원 (2년 분할 지급)
  • 넷째 이상 : 1,000만원 (4년 분할 지급)


하남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만원 (일시금)
  • 셋째 : 200만원 (일시금)
  • 넷째 : 1,000만원 (4년 균등 분할 지급)
  • 다섯째 이상 : 2,000만원 (4년 균등 분할 지급)


화성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 둘째 : 200만원 (일시금)
  • 셋째 : 200만원 (일시금)
  • 넷째 이상 : 300만원 (2회 분할 지급)



2025년 경기도 출산지원금 시군별 요약


시군명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이상 비고
가평군100
(일시금)
400
(2년)
1000
(5년)
2000
(10년)
2000
(10년)
출산 축하목
고양시100
(일시금)
200
(일시금)
300
(일시금)
500
(분할)
1000
(분할)
쌀케이크, 다복꾸러미(셋째 이상)
과천시100
(일시금)
150
(일시금)
300
(2회 분할)
500
(4회 분할)
500
(4회 분할)
임신축하금, 출산축하용품
광명시70
(일시금)
70
(일시금)
70
(일시금)
70
(일시금)
70
(일시금)
첫돌 50만원, 아이조아붕붕카, 쓰레기봉투
광주시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다자녀 양육비(셋째 이상)
구리시50
(일시금)
100
(일시금)
200
(일시금)
300
(일시금)
300
(일시금)
군포시100
(일시금)
300
(일시금)
500
(일시금)
700
(일시금)
700
(일시금)
김포시-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임신축하금(50만원)
남양주시100
(상품권)
100
(상품권)
100
(상품권)
100
(상품권)
100
(상품권)
동두천시100
(일시금)
150
(일시금)
250
(일시금)
500
(2년 분할)
500
(2년 분할)
출산/돌축하용품
부천시---700
(10회 분할)
700
(10회 분할)
출산축하선물, 축산물꾸러미
성남시30
(지역화폐)
50
(지역화폐)
100200300다자녀 양육수당(셋째 이상)
수원시-502005001000
(5회 분할)
시흥시-50100800
(4년)
800
(4년)
산후조리비 40만원
안산시100300500500500출생축하용품
안성시100100100100100출생축하선물
안양시200
(2회)
400
(2회)
1000
(4회)
1000
(4회)
1000
(4회)
임신축하금
양주시---200
(2회)
700
(4회)
종량제봉투, 기념품
양평군500
(4년)
500
(4년)
1000
(4년)
2000
(5년)
2000
(5년)
산후조리비
여주시100500
(5년)
1000
(5년)
1000
(5년)
1000
(5년)
산후조리비, 장려금
연천군100
(2회)
200
(2회)
500
(5회)
1000
(5회)
1000
(5회)
출산축하용품
오산시20
(일시금)
50
(일시금)
300
(3년 분할)
600
(3년 분할)
600
(3년 분할)
용인시30
(일시금)
50
(일시금)
100
(일시금)
200
(일시금)
300
(일시금)
임신지원금(지역화폐 30만원)
의왕시100
(일시금)
200
(일시금)
300
(일시금)
500
(일시금)
500
(일시금)
임신축하금, 산후조리비
의정부시3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100
(일시금)
이천시100
(지역화폐)
200
(지역화폐)
300
(지역화폐)
500
(지역화폐)
500
(지역화폐)
다자녀 양육비 (셋째 이상)
파주시100
(10+90)
200
(30+170)
300
(100+200)
300
(100+200)
300
(100+200)
출산조리비
평택시50
(일시금)
120
(일시금)
300
(일시금)
500
(일시금)
500
(일시금)
포천시100
(일시금)
300
(일시금)
500
(2년)
1000
(4년)
1000
(4년)
하남시50
(일시금)
100
(일시금)
200
(일시금)
1000
(4년)
2000
(4년)
화성시100
(일시금)
200
(일시금)
200
(일시금)
300
(2회)
300
(2회)



Q&A

Q1. 블로그에서 표로 정리된 지원 정보를 실제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각 시군 보건소(모자보건실)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출생신고 후 1개월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경기도 누리집의 복지/출산 지원 메뉴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Q2. 지역 간 중복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 출산지원금은 어디서 받나요?

A. 일반적으로 출산일 기준 주소지(주민등록상 거주지) 시군의 정책이 적용됩니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최소 거주기간 요건(예: 6개월 이상 거주)**이 있기 때문에
출산 직전 이사를 계획 중이라면 지원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첫째 아이 때 지원받고, 둘째 아이도 받으려면 따로 신청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시군에서는 자녀 수마다 별도 신청이 필요합니다.
첫째 지원금 수령 기록이 있다고 해서 자동 신청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특히 둘째 이상부터 지원금이 대폭 증가하는 시군도 있으므로 출생 후 즉시 신청하세요.

Q4. 가구 소득이 높아도 출산지원금 신청 가능한가요?

A. 대부분의 시군은 출산지원금 자체에 소득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일부 부가 혜택(예: 산후조리비 지원, 양육수당, 국가 바우처 등)은
소득 기준이나 기초생활수급자 우선 조건이 붙는 경우도 있으니 각 항목을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

Q5. 지역화폐로 받는 경우 사용처가 제한되나요?

A. 대부분의 지역화폐는 관내 전통시장, 소상공인 매장, 일부 프랜차이즈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쇼핑몰, 일부 업종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 시군별 지역화폐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맹점 목록을 확인하세요.



띠용빠

육아 2년차 아빠, 2024년생 첫째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일반 회사원이지만 지금은 육아휴직 후 하루 24시간이 육아와 함께 흘러가고 있답니다. 밤낮 없는 육아 속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