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신 경상북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총정리 : 지원금액과 추가혜택까지

2025년 경상북도 시군별 출산지원혜택 총정리

안녕하세요. 초저출산시대에 맞춰서 경상북도 각 시군에서도 지속적으로 출산지원 사업을 확대,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최신 지원 혜택에 대해 각 행정시 페이지에 찾아가 직접 알아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오늘은 2025년 경상북도 시군별 출산지원금에 관한 최신 자료를 총정리 해드립니다. 시군별 지원금액과 추가혜택까지 정리하였으니, 놓치지말고 지원하시길 바랍니다.


2025 경상북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상세 정리


포항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일시금 50만원)
  • 둘째 : 240만원 (월 10만원*24개월)
  • 셋째 이상 : 360만원 (월 15만원*24개월)
  • 넷째 이상 : 1,080만원(월 30만원*36개월)
    ※ 기타 혜택 : 첫돌 50만원


칠곡군 출산지원금

  • 첫째 : 없음
  • 둘째 : 40만원 (출생시 40만원)
  • 셋째 : 100만원 (출생시 40만원 +월5만원 *12개월)
  • 넷째 : 340만원 (출생시 40만원 +월10만원 *30개월)
  • 다섯째 이상 : 700만원 (출생시 40만원 +월10만원 *66개월)

    ※ 기타 혜택 : 첫돌 40만원

청송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80만원 (100만원 +10만원*48개월)
  • 둘째 : 1,300만원 (100만원 +20만원*60개월)
  • 셋째 : 1,600만원 (100만원 +25만원*60개월)
  • 넷째 이상 : 1,900만원 (100만원 +30만원*60개월)

    ※ 기타 혜택 : 건강보험료 지원, 유모차, 육아용품 대여, 행복맘꾸러미)


청도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60만원 (200만원 +10만원*36개월)
  • 둘째 : 1,480만원 (400만원 +30만원*36개월)
  • 셋째 이상 : 2,140만원 (700만원 +40만원*36개월)

    ※ 기타 혜택 : 출산용품 꾸러미, 기념패, 기념우표, 임신축하용품


의성군 출산지원금

  • 첫째 이상 : 1,900만원 (100만원 +30만원*60개월)

울진군 출산지원금

  • 첫째 : 600만원 (10만원*60개월)
  • 둘째 : 600만원 (10만원*60개월)
  • 셋째 이상 : 1,200만원 (20만원*60개월)

    ※ 기타 혜택 : 젖병소독기 등 기념품


울릉군 출산지원금

  • 첫째 : 680만원 (200만원 +10만원*48개월)
  • 둘째 : 1,160만원 (200만원 +20만원*48개월)
  • 셋째 : 2,600만원 (200만원 +50만원*48개월)
    기타 혜택: 산축하박스 15만원 상당


예천군 출산지원금

※ 출산축하금+출상장려금

  • 첫째 : 340만원 (100만원 +10만원*24개월)
  • 둘째 : 580만원 (100만원 +20만원*24개월
  • 셋째 : 820만원 (100만원 +30만원*24개월)
  • 넷째 이상 : 1,300만원 (100만원 +50만원*24개월)


영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0만원 (100만원 +월10만원*20회)
  • 둘째 : 1,300만원 (100만원 +월20만원*60회)
  • 셋째 : 1,600만원 (100만원 +월25만원*60회)
  • 넷째 이상 : 1,900만원 (100만원 +월30만원*60회)
    ※ 기타 혜택 : 출산축하용품 20만원 상당


영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290만원 (50만원 +20만원*12개월)
  • 둘째 : 770만원 (50만원 +30만원*24개월)
  • 셋째 이상 : 1,850만원 (50만원 +50*36개월)

영양군 출산지원금

  • 첫째 : 360만원 (10만원*36개월)
  • 둘째 : 540만원 (15만원*36개월)
  • 셋째 이상 : 1,200만원 (20만원*60개월)

영덕군 출산지원금

  • 첫째 : 480만원 (20만원*24개월)
  • 둘째 이상: 720만원 (20만원*36개월)
    ※ 기타 혜택 : 초등학교 입학시 50만원, 첫돌 50만원

안동시 출산지원금

  • 첫째 : 290만원 (50만원 +10만원*24개월)
  • 둘째 : 530만원 (50만원 +20만원*24개월)
  • 셋째 이상 : 770만원 (50만원 +30만원*24개월)
    ※ 기타 혜택 : 첫돌 50만원

성주군 출산지원금

  • 첫째 : 720만원 (10만원*72개월)
  • 둘째 : 1,440만원 (20만원*36개월 이후 10만원*36개월)
  • 셋째 : 2,520만원 (50만원*36개월 이후 10만원*36개월)
  • 넷째 이상 : 3,240만원 (70만원*36개월 이후 10만원*36개월)

상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60만원 (15만원*24개월)
  • 둘째 : 960만원 (20만원*48개월)
  • 셋째 : 1,800만원 (30만원*60개월)
  • 넷째 이상 : 2,400만원 (40만원*60개월)
    ※ 기타 혜택 : 출산축하박스(지역특산품, 기저귀, 미역 등)


봉화군 출산지원금

  • 첫째 : 700만원 (100만원 +10만원×60개월)
  • 둘째 : 1,000만원 (100만원 +15만원×60개월)
  • 셋째 : 1,600만원 (100만원 +25만원×60개월)
  • 넷째 이상 : 1,900만원 (100만원 +30만원×60개월)

문경시 출산지원금

  • 모든 출생아 : 400만원 (100만원 +20만원*15개월)
    ※ 기타 혜택 : 첫돌 100만원, 출산축하키트(10만원 상당)


김천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0만원 (100만원 +10만원*20개월)
  • 둘째 : 500만원 (200만원 +10만원*30개월)
  • 셋째 : 800만원 (300만원 +10만원*50개월)
  • 넷째 이상 : 1,000만원 (400만원 +10만원*60개월)
    ※ 기타 혜택 : 출산축하박스 15만원 상당


구미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50만원 (50만원 +첫돌 50만원 +두돌 50만원)
  • 둘째 : 200만원 (60만원 +첫돌 60만원+두돌 80만원)
  • 셋째 : 300만원 (100만원 +첫돌 100만원 +두돌 100만원)
  • 넷째 : 400만원 (150만원 +첫돌 150만원 +두돌 100만원)
  • 다섯째 이상 : 500만원 (200만원 +첫돌 200만원 +두돌 100만원)

고령군 출산지원금

  • 첫째 : 150만원 (100만원 +1년 후 50만원)
  • 둘째 : 480만원 (20만원*24개월)
  • 셋째 : 720만원 (20만원*36개월)
  • 넷째 이상 : 1,200만원 (20만원*60개월)
    ※ 기타 혜택 : 가족사진 지원 (30만원 상당)

경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20만원 (20만워 +12만원*25개월)
  • 둘째 : 520만원 (20만워 +20만원*25개월)
  • 셋째 이상 : 1,820천만원 (20만워 +50만원*36개월)

경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20만원 (50만원 +10만원*12개월)
  • 둘째 : 240만원 (50만원 +20만원*12개월)
  • 셋째 : 360만원 (50만원 +30만원*12개월)
  • 넷째 이상 : 1,200만원 (50만원 +50만원*24개월)
    ※ 기타 혜택 : 출산축하박스 A·B·C 선택 가능



2025 경상북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총정리 요약

시군

첫째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이상

기타 혜택

포항시

100만원
(
일시금)

240만원
(24
개월)

360만원
(24
개월)

1,080만원
(36
개월)

1,080만원
(36
개월)

첫돌 50만원

칠곡군

없음

40만원
(
일시금)

100만원
(12
개월)

340만원
(30
개월)

700만원
(66
개월)

첫돌 40만원

청송군

580만원
(48
개월)

1,300만원
(60
개월)

1,6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행복맘꾸러미

청도군

560만원
(36
개월)

1,480만원
(36
개월)

2,140만원
(36
개월)

2,140만원
(36
개월)

2,140만원
(36
개월)

출산용품 꾸러미,
임신축하용품

의성군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

울진군

600만원
(60
개월)

6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출산축하기념품
(
젖병 소독기 등)

울릉군

680만원
(48
개월)

1,160만원
(48
개월)

2,600만원
(48
개월)

2,600만원
(48
개월)

2,600만원
(48
개월)

산축하박스
(15
만원 상당)

예천군

340만원
(24
개월)

580만원
(24
개월)

820만원
(24
개월)

1,300만원
(24
개월)

1,300만원
(24
개월)

-

영천시

300만원
(20
개월)

1,300만원
(60
개월)

1,6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출산축하용품
(20
만원 상당)

영주시

290만원
(12
개월)

770만원
(24
개월)

1,850만원
(36
개월)

1,850만원
(36
개월)

1,850만원
(36
개월)

-

영양군

360만원
(36
개월)

540만원
(36
개월)

1,2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

영덕군

480만원
(24
개월)

720만원
(36
개월)

720만원
(36
개월)

720만원
(36
개월)

720만원
(36
개월)

초등입학 50만원,
첫돌 50만원

안동시

290만원
(24
개월)

530만원
(24
개월)

770만원
(24
개월)

770만원
(24
개월)

770만원
(24
개월)

첫돌 50만원

성주군

720만원
(72
개월)

1,440만원
(72
개월)

2,520만원
(72
개월)

3,240만원
(72
개월)

3,240만원
(72
개월)

-

상주시

360만원
(24
개월)

960만원
(48
개월)

1,800만원
(60
개월)

2,400만원
(60
개월)

2,400만원
(60
개월)

출산축하박스

봉화군

700만원
(60
개월)

1,000만원
(60
개월)

1,6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1,900만원
(60
개월)

-

문경시

400만원
(15
개월)

400만원
(15
개월)

400만원
(15
개월)

400만원
(15
개월)

400만원
(15
개월)

첫돌 100만원,
출산축하키트

김천시

300만원
(20
개월)

500만원
(30
개월)

800만원
(50
개월)

1,000만원
(60
개월)

1,000만원
(60
개월)

출산축하박스
(15
만원 상당)

구미시

15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00만원

일시금+첫돌+두돌

고령군

150만원
(1
년간)

480만원
(24
개월)

720만원
(36
개월)

1,200만원
(60
개월)

1,200만원
(60
개월)

가족사진 지원

경주시

320만원
(25
개월)

520만원
(25
개월)

1,820만원
(36
개월)

1,820만원
(36
개월)

1,820만원
(36
개월)

-

경산시

120만원
(12
개월)

240만원
(12
개월)

360만원
(12
개월)

1,200만원
(24
개월)

1,200만원
(24
개월)

출산축하박스

 


각 시군별로 지원금액과 일시금, 분할 지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출산 지원을 하고있으니, 시군별 정보 확인하시고 앞으로 출산을 준비하면서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나올 소중한 아이를 위해 작은 지원이라도 꼭 챙기셔서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이시길 바랍니다. 모든 부모님 화이팅입니다.


Q&A

Q1. 시군별 지원은 매년 바뀌나요?
A. 저출산 문제 대응 사업 및 예산 상황에 따라 매년 일부 조정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관할 시군 홈페이지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지원금은 언제부터, 어떻게 지급되나요?
A. 일반적으로 출생신고 후 일정 기간 내에 신청을 하면, 일시금은 즉시 지급되고, 분할 지급은 매월 또는 매년 정기적으로 지급이 됩니다. 지급일은 시군별로 상이하니 관할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Q3. 출산지원금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 관할 행정복지센터(읍면동사무소) 또는 시군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 서류나 절차는 시군별로 상이하니 관할 행정기관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띠용빠

육아 2년차 아빠, 2024년생 첫째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일반 회사원이지만 지금은 육아휴직 후 하루 24시간이 육아와 함께 흘러가고 있답니다. 밤낮 없는 육아 속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