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준비하여 이것저것 준비하다보면 조금씩 금전적인 부담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초저출산 시대에 맞춰 국가 뿐만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계속해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최신 충청남도 시군별 출산지원금과 추가 혜택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요약표까지 준비했습니다. 시군별 지원금액 꼭 확인하시고 신청 놓치지 마세요!
2025년 충청남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총정리
천안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만원
- 둘째 : 50만원
- 셋째 이상 : 100만원
※ 기타 혜택 : 출생축하용품 지원, 출생축하 쌀케이크, 아빠 육아휴직장려금
공주시 출산지원금
- 첫째 : 300만원 (출생시 150만원, 1년 후 150만원)
- 둘째 : 500만원 (출생시 200만원 +150만원*2년)
- 셋째 이상 1,000만원 (출생시 250만원 +250만원*3년)
※ 기타 혜택 : 출산축하선물(10만원 온누리상품권), 출산축하용품(10만원 상당), 우리아기 생애 첫 통장(5만원 지원)
보령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5년 분할 지급)
- 둘째 : 300만원 (5년 분할 지급)
- 셋째 : 500 (10년 분할 지급)
- 넷째 : 1,500 (10년 분할 지급)
- 다섯째 이상 : 3,000 (10년 분할 지급) ※ 매년 생일달에 지급
※ 기타 혜택 : 탄생축하 꾸러미 지원
아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만원 (일시금)
- 셋째 이상 : 1,000만원 (출생시 200만원 +200만원*4년)
※ 기타 혜택 : 카시트 지원
서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만원 (일시금)
- 셋째 : 500만원 (출생시 250만원, 1년 후 250만원)
- 넷째 이상 : 1,000만원 (출생시 500만원, 1년 후 500만원)
※ 기타 혜택 : 둘째 이상 양육비 (10만원*36개월), 출산축하용품(10만원 상당)
논산시 출산지원금
- 첫째 : 100만원
- 둘째 : 200만원
- 셋째 : 300만원
- 넷째 : 400만원
- 다섯째 이상 : 700만원
※ 기타 혜택 : 임신축하꾸러미, 출산축하꾸러미, 산모꾸러미 지급
계룡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 둘째 : 100만원
- 셋째 : 300만원
당진시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만원 (일시금)
- 셋째 : 500만원 (출생시 200만원 +150만원*2년)
- 넷째 이상 : 1,000만원 (출생시 400만원 +200만원*3년)
부여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일시금)
- 둘째 : 200만원 (3년 분할 지급)
- 셋째 : 500만원 (4년 분할 지급)
- 넷째 이상 : 1,000만원 (5년 분할 지급)
※ 다태아 출산축하금 : 100만원
※ 출산축하물품 지원 (소고기, 미역, 아기내복 등)
청양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만원 (출생시 100만원 +100만원*4년)
- 둘째 : 1,000만원 (출생시 200만원 +200만원*4년)
- 셋째 : 1,500만원 (출생시 300만원 +300만원*4년)
- 넷째 : 2,000만원 (출생시 400만원 +400만원*4년)
- 다섯째 이상 : 3,000만원 (출생시 500만원 +500만원*4년)
※ 기타 혜택 : 출산축하금(샛째 이상 50만원), 출산축하선물 지원(15만원 상당)
홍성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만원 (일시금)
- 둘째 : 1,000만원 (500만원*2년)
- 셋째 : 1,500만원 (500만원*3년)
- 넷째 : 2,000만원 (400만원*5년)
- 다섯째 이상 : 3,000만원 (600만원*5년)
예산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만원 (250만원*2년)
- 둘째 : 1,000만원 (250만원*4년)
- 셋째 : 1,500만원 (300만원*5년)
- 넷째 : 2,000만원 (400만원*5년)
- 다섯째 이상 : 3,000만원 (600만원*5년)
태안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만원
- 둘째 : 100만원
- 셋째 이상 : 200만원
금산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 (100만원*5년)
- 둘째 : 700 (100만원*7년)
- 셋째 : 1,000 (100만원*10년)
- 넷째 이상 : 2,000 (20만원*10년)
서천군 출산지원금
- 첫째 : 500만원 (10만원*50개월)
- 둘째 : 1,000만원 (20만원*50개월)
- 셋째 : 1,500만원 (30만원*50개월)
- 넷째 : 2,000만원 (40만원*50개월)
- 다섯째 이상 : 3,000만원 (60만원*50개월)
2025 충청남도 시군별 출산지원금 요약
시군 | 첫째 | 둘째 | 셋째 | 넷째 | 다섯째 이상 | 비고 |
---|---|---|---|---|---|---|
천안시 | 30만원 (일시금)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출생축하용품, 아빠 육아휴직장려금 |
공주시 | 300만원 (1년) | 500만원 (3년) | 1,000만원 (4년) | 1,000만원 (4년) | 1,000만원 (4년) | 출산선물, 출산축하용품, 아기 첫 통장 지원 |
보령시 | 100만원 (5년) | 300만원 (5년) | 500만원 (10년) | 1,500만원 (10년) | 3,000만원 (10년) | 탄생축하 꾸러미 |
아산시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1,000만원 (5년) | 1,000만원 (5년) | 1,000만원 (5년) | 모바일 아산페이, 카시트 지원 |
서산시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500만원 (1년) | 1,000만원 (1년) | 1,000만원 (1년) | 양육비 지원, 출산축하용품 |
논산시 | 100만원 (일시금) | 200만원 (일시금) | 300만원 (일시금) | 400만원 (일시금) | 700만원 (일시금) | 임신·출산·산모 꾸러미 |
계룡시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300만원 (일시금) | 300만원 (일시금) | 300만원 (일시금) | |
당진시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500만원 (3년) | 1,000만원 (4년) | 1,000만원 (4년) | |
부여군 | 50만원 (일시금) | 200만원 (3년) | 500만원 (4년) | 1,000만원 (5년) | 1,000만원 (5년) | 다태아 100만원, 출산축하물품 |
청양군 | 500만원 (5년) | 1,000만원 (5년) | 1,500만원 (5년) | 2,000만원 (5년) | 3,000만원 (5년) | 출산축하금, 선물 지원 |
홍성군 | 500만원 (일시금) | 1,000만원 (일시금) | 1,500만원 (3년) | 2,000만원 (5년) | 3,000만원 (5년) | |
예산군 | 500만원 (2년) | 1,000만원 (4년) | 1,500만원 (5년) | 2,000만원 (5년) | 3,000만원 (5년) | 출산축하바구니 (상품권) |
태안군 | 50만원 (일시금) | 100만원 (일시금) | 200만원 (일시금) | 200만원 (일시금) | 200만원 (일시금) | |
금산군 | 500만원 (5년) | 700만원 (7년) | 1,000만원 (10년) | 2,000만원 (10년) | 2,000만원 (10년) | 출산축하 꾸러미 |
서천군 | 500만원 (50개월) | 1,000만원 (50개월) | 1,500만원 (50개월) | 2,000만원 (50개월) | 3,000만원 (50개월) |
Q&A
Q1. 출산지원금 신청자격이 어떻게 되나요?
A. 신청자격은 신생아 출생일 기준 해당 시군에 실제 거주하는 부모(또는 보호자)라면 가능합니다. 거주 충족 기간은 시군별로 상이하니 해당 시군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예외로 거주기간을 충족하지 못해도 일부 금액이 지급되는 시군도 있습니다.
Q2. 출산지원금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 관할 읍면동사무소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온라인(정부24 등)로도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시기는 출생신고시 함께 하면됩니다.
Q3. 지원금은 언제, 어떻게 지급되나요 ?
A. 보통은 신청 후 약 1개월 내 보호자 명의 통장으로 입금됩니다. 분할 지급 시에는 매년 또는 매월 정해진 날 입금됩니다. 이 부분은 시군별 상이하니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 해주세요.
Q4. 출산지원금 신청시 유의할 점은?
A. 거부요건 미충족시, 일부 또는 전액 미지급 될 수 있으니 이부분 꼭 확인하세요.
Q5.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출산관련 복지 혜택은 ?
A. 지자체별로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공공요금 감면, 다자녀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관할 시군 보건소 홈페이지를 찾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