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은 출산을 하게 되면 나라에서나 시군구별로 지원해주는 혜택이 다양해서 어떤 혜택이 있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확인하기가 정말 어렵죠? 오늘은 2025년 부산시에서 지원해주는 출산지원 혜택과 자치구에서 지원해주는 혜택 각각 총정리 해드리겠습니다.
※ 시군구별 출산지원 혜택 총정리 요약
구·군 |
첫째 |
둘째 |
셋째 |
넷째 이상 |
비고 |
부산시 |
- |
10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중구 |
30만원 |
60만원 |
300만원 |
300만원 |
임신축하금 |
동구 |
- |
2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
진구 |
20만원 |
5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남구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
해운대구 |
- |
10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금정구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
연제구 |
20만원 |
5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사상구 |
20만원 |
5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서구 |
20만원 |
30만원 |
100만원 |
300만원 |
|
영도구 |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 |
기저귀 |
동래구 |
10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100만원 |
|
북구 |
- |
2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
사하구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50만원 |
|
강서구 |
- |
50만원 |
120만원 |
120만원 |
|
수영구 |
- |
100만원 |
200만원 |
300만원 |
|
기장군 |
- |
50만원 |
360만원 |
360만원 |
|
'부산시'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둘째 자녀부터
- 신청방법 : 오프라인(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온라인(정부24:임신지원서비스 통합제공)
- 100만원 계좌이체
부산시 '중구' 출산지원 혜택
임신축하금
- 신청일 기준 중구 거주 6개월 이상 임산부
- 신청 방법 : 오프라인(관할 보건소), 온라인(정부24:임신지원서비스 통합제공)
- 임신 1회당 축하금 10만원, 임산부 건강관리 물품(영양제, 튼살크림, 손목보호대 등)
출산장려금
- 대상 : 첫째 자녀 : 신청일 기준 중구 거주 / 둘째 이상 :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거주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첫째 자녀 : 신청월에 30만원 일시금
- 둘째 자녀 : 60만원(20만원*3회) 지급
- 셋째 이후 : 300만원(30만원*10회) 지급
부산시 '동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첫째 자녀 : 신청일 기준 중구 거주 / 둘째 이상 :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거주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둘째 자녀 : 20만원
- 셋째 이후 : 200만원(20만원*10회) 지급
부산시 '진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부산진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첫째 자녀 : 20만원
- 둘째 자녀 : 50만원
- 셋째 이후 : 100만원
부산시 '남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남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남구 모든 출생아 50만원 오륙도페이 선불카드 지급
부산시 '해운대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둘째 자녀부터
- 신청방법 : 오프라인(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온라인(정부24)
- 100만원 계좌이체
부산시 '금정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금정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금정구 모든 출생아 50만원 현금 지급
부산시 '연제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연제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오프라인(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온라인(정부24)
- 첫째 자녀 : 20만원
- 둘째 자녀 : 50만원
- 셋째 이후 : 100만원
부산시 '사상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사상구에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 방법 : 오프라인(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온라인(정부24:임신지원서비스 통합제공)
- 첫째 자녀 : 20만원
- 둘째 자녀 : 50만원
- 셋째 이후 : 100만원
부산시 '서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서구에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첫째 자녀 : 20만원 (1회)
- 둘째 자녀 : 30만원 (1회)
- 셋째 자녀 : 100만원 (20만원*5회)
- 넷째 이후 : 300만원 (30만원*10회)
부산시 '영도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영도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남구 모든 출생아 500만원 현금 지급
출산 축하용품
- 기저귀 (15만원 상당) 택배 배송
부산시 '동래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동래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오프라인만 됨)
- 동래구 모든 출생아 100만원 현금 지급
부산시 '북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북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오프라인 -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출생신고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일괄 신청
온라인 - 정부24 행복출산 서비스
- 둘째 자녀 : 20만원 (일시금)
- 셋째 이후 : 200만원(20만원*10회) 지급
부산시 '사하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사하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사하구 모든 출생아 50만원 현금 지급
부산시 '강서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강서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오프라인 -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출생신고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일괄 신청
- 둘째 자녀 : 50만원 (일시금)
- 셋째 이후 : 120만원 (일시금)
부산시 '수영구'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수영구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둘째 자녀 : 100만원 (20만원*5회)
- 셋째 자녀 : 200만원 (40만원*5회)
- 넷째 이후 : 300만원 (50만원*6회)
부산시 '기장군' 출산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 대상 : 출생신고일 현재 기장군에 주소지를 둔 출산 가정
- 신청방법 :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둘째 자녀 : 50만원 (일시금)
- 셋째 이후 : 360만원 (30만원*12회)
이렇게 부산에는 시군구별로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각 혜택 확인하시고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셔서 앞으로의 육아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시길 바랍니다.
Q&A
Q1. 첫째 아이도 출산지원금 받을 수 있나요?
A. 네, 받을 수 있는 지역이 있어요! 진구, 금정구, 연제구 등은 첫째에게도 20만~100만 원을 지원해요. 다만 대부분은 둘째부터 지원이 많아요.
Q2. 어디에서 신청해야 하나요?
A. 대부분 **주민센터(읍·면·동)**에서 신청해요. 일부는 **정부24(온라인)**에서도 가능해요. 헷갈리면 동 주민센터에 전화하면 안내해줘요.
Q3. 출산지원금은 현금으로 주나요?
A. 지역마다 달라요. 대부분은 현금 또는 계좌이체지만, 남구는 **선불카드(오륙도페이)**로 줘요. 형태는 다르지만 쓸 수 있는 돈이에요.
Q4. 꼭 지금 살고 있는 주소 기준으로 신청해야 하나요?
A. 네. 출생신고일에 실제 주소지가 등록된 곳에서 신청해야 해요. 일부 지역은 6개월 이상 거주해야 하는 조건도 있으니 확인 필요해요.
Q5. 출산지원금 말고도 받을 수 있는 게 있나요?
A. 있어요! 예를 들면,
-
중구: 임신축하금 + 영양제·튼살크림 등
-
영도구: 기저귀(15만 원 상당)
그리고 전국 공통으로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도 자동으로 나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