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출산 축하금부터 유축기 대여까지, 놓치면 안 되는 혜택들 총정리!
요즘 출산지원 정책이 다양해지고 있다고 많이들 들으셨죠? 대전시에도 임신과 출산 그리고 육아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이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대전시 출산·양육 지원 혜택들을 한 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주요 출산지원 정책
-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
- 대상: 0~2세 영유아 보호자 (6개월 이상 대전 거주)
- 내용: 0~23개월 매월 15만원 + 24~35개월 매월 15만원 추가
- 신청: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접수 - 첫만남 이용권
- 대상: 출생신고된 아동 (2년 이내)
- 내용: 첫째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바우처)
- 신청: 복지로 또는 행정복지센터 - 우리대전 북스타트
- 대상: 2025년 출생신고 아기
- 내용: 그림책 2권, 가방, 가이드북 꾸러미 제공 (택배 발송)
- 신청: 출생신고 시 신청서 제출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대상: 출산가정 (소득·출산순위 등 기준 있음)
- 내용: 산모케어, 청소·세탁 등 서비스 바우처 제공
- 신청: 복지로 또는 보건소 방문 (출산예정일 40일 전~출산 후 60일 내)
양육·건강지원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소득 80% 이하)
- 대상: 0~24개월 영아 보호자
- 내용: 정기 물품 지원
- 신청: 보건소 모자보건실 - 영양플러스 사업
- 대상: 임산부, 영유아 등 (소득 80% 이하 + 영양위험 보유자)
- 내용: 식품꾸러미, 영양상담, 건강평가 등
- 신청: 보건소 방문 - 유축기 무료 대여
- 대상: 출산 여성
- 내용: 전동 유축기 2~4주 무료 대여
- 신청: 보건소 전화예약
장애인가정 지원
-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 내용: 태아 1인당 120만원
- 신청: 복지로 또는 행정복지센터 - 남성장애인 가정 출산지원금
- 내용: 태아 1인당 100만원
- 신청: 행정복지센터 방문
대덕구 특화 정책
- 산모 회복비 지원
-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대덕구 출생신고 산모
- 내용: 최대 50만원 (조리원·병의원 등 사용 후 정산)
- 신청: 보건소 방문 또는 보조금24
- 서류: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영수증 등
자주 묻는 질문 (Q&A)
- Q1. 온라인 신청 가능한가요?
A. 복지로(www.bokjiro.go.kr), 보조금24(www.gov.kr) 통해 가능합니다. - Q2. 모든 지원에 등본이 필요한가요?
A. 대부분 필요하며, 일부 사업은 통장사본, 출생증명서도 요구됩니다. - Q3. 외국인 산모도 신청 가능한가요?
A. 일부 정책(대덕구 등)에서는 외국인 산모 포함 가능합니다. - Q4. 중복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대부분 정책은 중복 가능하나 기관별 기준이 다르니 확인 바랍니다.
출산이 축복이 되는 도시, 대전.
다양한 대전시 출산지원 제도 꼭 확인하시고,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