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방구 해도 되나요? 아기 입으로 내는 ‘방귀 소리’, 걱정해야 할까?

입방구 표정의 아기 일러스트 썸네일

입방구 해도 되나요? 아기 입으로 내는 ‘방귀 소리’, 걱정해야 할까?

어느날 갑자기 아기가 입으로 뿌우우 소리를 내는거에요.
처음 들었을 땐 방귀 소리 같기도 하고, 마냥 귀엽기도 하고..
아기 입에서 나는 이 익숙하면서도 낯선 소리에 당황한 적 있으셨나요?

저희 아이도 6개월 정도쯤부터 침을 엄청 튀기면서 입으로 계속 "뿌우~" 소리를 내던 때가 있었어요. 
이게 정상 발달 과정인지, 안좋은 습관인건지, 어디가 불편한건지 걱정이 되더라구요.


입방구,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보통 아기들이 생후 5~7개월 전후부터 입방구(입으로 방귀처럼 내는 소리)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특별한 이상 행동이 아니라, 입술과 혀, 입 근육을 조절하는 연습의 일환이에요.

이 시기는 아기가 이유식을 시작하고, 옹알이가 활발해지며 입 주위 근육이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입방구는 일종의 놀이이자 언어 발달의 전초 단계로도 볼 수 있어요.


왜 입방구를 할까요?

아기들이 입으로 소리를 내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 입술 움직임이 재미있어서 – 입술을 움직이며 나오는 소리나 진동이 신기하고 재미있기 때문이에요.
  • 주의를 끌고 싶어서 – 입방구를 할 때 부모가 웃거나 반응을 보여줬다면, 아기는 이를 놀이로 인식하게 돼요.
  • 침 분비 증가와 관련 – 이유식 시기와 겹치며 침 분비가 많아져 입을 오물거리며 놀기도 해요.

즉, 입방구는 일시적인 발달 과정이며, 대부분 자연스럽게 사라지거나 옹알이로 발전해요.


입방구, 혹시 문제는 없을까요?

대부분은 정상 발달의 일부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체크해보시는 게 좋아요.

  • 계속 입만 오물거리고 말소리가 느리게 느껴질 경우
  • 침을 과도하게 흘리거나, 입이 한쪽으로만 움직일 때
  •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 데 어려움을 보일 때

이런 경우엔 구강 근육 발달의 지연일 수 있으므로, 소아언어치료사나 발달 전문가의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단순히 장난처럼 반복하는 입방구는 대부분 자연스럽게 지나간답니다.


부모가 할 수 있는 반응은?

  • 반응해주되 과도한 관심은 줄이기 – 너무 웃거나 "하지 마~"라고 반복하면 오히려 계속할 수 있어요.
  • 함께 소리 내며 놀이처럼 활용해보기 – 소리 따라하기, 동물 흉내 내기 등으로 언어 놀이로 확장 가능
  • 입 근육 자극 활동 해주기 – 빨대 컵 연습, 풍선 불기, 손수건 불기 놀이도 좋아요.


Q&A

  • Q. 입방구는 언제까지 하나요?
    A. 대부분 생후 9~10개월 이후부터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옹알이나 단어 말하기로 이어져요.
  • Q. 혼내야 하나요?
    A. 전혀 아닙니다. 자연스러운 발달 현상으로, 억지로 제지하지 않아도 돼요.
  • Q. 다른 아기는 안 하는데 괜찮을까요?
    A. 아이마다 표현 방식이 달라요. 입방구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발달이 느린 건 아닙니다.
  • Q. 입방구를 너무 자주 하는데 괜찮을까요?
    A. 하루 종일 지속되거나 식사 중에도 반복된다면 구강 자극의 대체 방법을 함께 제시해주는 게 좋아요.
  • Q. 침을 너무 많이 흘리는데 관련 있나요?
    A. 입방구와 침 분비는 간접적으로 연결돼 있어요. 침 조절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로 볼 수 있어요.


띠용빠

육아 2년차 아빠, 2024년생 첫째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일반 회사원이지만 지금은 육아휴직 후 하루 24시간이 육아와 함께 흘러가고 있답니다. 밤낮 없는 육아 속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