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이앓이 언제부터? 첫니 나오는 시기와 이앓이의 모든 것

아기 이앓이 언제부터? 첫니 나오는 시기와 이앓이의 모든 것 일러스트 썸네일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루하루가 새롭습니다. 특히 첫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매일이 질문의 연속이죠. 그 중에서도 부모님들이 가장 자주 고민하고,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이앓이'입니다.

"우리 아이가 갑자기 잠을 못 자고 보챕니다. 혹시 이앓이가 시작된 걸까요?" "첫니는 보통 언제 나오나요?" 이런 고민, 다들 한 번쯤은 하셨을 겁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아기 이앓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현실적인 대처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니는 언제부터 나오나요?

보통 아기의 첫니는 생후 6개월 무렵부터 나기 시작합니다. 물론 개인차가 있어서 빠르면 4개월, 늦으면 12개월까지 첫니가 나오기도 합니다. 대한소아치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대체로 만 2세가 될 때쯤이면 20개의 유치가 모두 난다고 합니다.

아기 이앓이의 주요 증상

아기 이앓이는 치아가 잇몸을 뚫고 나올 때의 불편감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침을 많이 흘림

  • 잇몸이 붉어지고 부어오름

  • 손이나 물건을 자꾸 입에 넣고 물기

  • 이유 없는 짜증과 울음 증가

  • 수면 장애 및 식욕 저하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이며, 치아가 완전히 나오면 점차 완화됩니다.

이앓이와 감기, 장염 등의 증상 구별하기

아기가 침을 많이 흘리고 칭얼대면 감기나 장염 등 다른 질병과 헷갈리기 쉽습니다. 감기나 장염의 경우 발열,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지만, 이앓이는 주로 잇몸 붓기와 침 흘림, 약한 열(미열) 정도로 그칩니다.

이앓이를 위한 현실적인 대처법

  • 치발기 활용하기: 차가운 물에 담가두었다가 주면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차가운 수건: 차갑게 적신 깨끗한 수건을 아이에게 씹게 하면 잇몸 진정에 도움이 됩니다.

  •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깨끗한 손이나 실리콘 손가락 칫솔로 부드럽게 잇몸을 마사지해 주세요.

  • 수분 보충: 침을 많이 흘리면 수분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자주 수분을 보충해 주세요.

이앓이 진통제, 꼭 써야 할까요?

심한 불편감을 느끼는 아이의 경우, 해열제나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다만, 사용 전에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육아 중 실전 팁

이앓이 시기는 아이마다 다릅니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거나 불안해하지 마세요. 중요한 건 아이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차분하게 대처하고, 아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부모님이 먼저 여유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Q&A)

Q1. 이앓이가 시작되면 얼마나 지속되나요?

  • 일반적으로 한 개의 치아가 나오는데 며칠에서 몇 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Q2. 첫니가 늦게 나오면 문제가 있나요?

  • 아닙니다.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므로 만 1세 이전까지 첫니가 나오지 않으면 소아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Q3. 이앓이가 심해도 병원에 가야 하나요?

  • 아이가 일상생활에 심한 불편감을 느끼거나 발열, 설사 등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소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4. 치발기는 어떤 제품이 좋나요?

  • 안전성 인증을 받은 BPA 프리 제품,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부드러운 제품이 좋습니다.

논문 출처

  • "유아기 구강 발달 및 관리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23.

  • "치아 맹출 시기에 나타나는 증상과 보호자의 인식", 한국소아과학회지, 2022.

아기 이앓이는 모든 아이와 부모가 경험하는 성장 과정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이 글의 정보를 통해 조금이나마 더 편안한 육아가 되시길 바랍니다.



띠용빠

육아 2년차 아빠, 2024년생 첫째 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원래는 일반 회사원이지만 지금은 육아휴직 후 하루 24시간이 육아와 함께 흘러가고 있답니다. 밤낮 없는 육아 속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