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루하루가 새롭습니다. 특히 첫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매일이 질문의 연속이죠. 그 중에서도 부모님들이 가장 자주 고민하고,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이앓이'입니다.
"우리 아이가 갑자기 잠을 못 자고 보챕니다. 혹시 이앓이가 시작된 걸까요?" "첫니는 보통 언제 나오나요?" 이런 고민, 다들 한 번쯤은 하셨을 겁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아기 이앓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현실적인 대처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니는 언제부터 나오나요?
보통 아기의 첫니는 생후 6개월 무렵부터 나기 시작합니다. 물론 개인차가 있어서 빠르면 4개월, 늦으면 12개월까지 첫니가 나오기도 합니다. 대한소아치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대체로 만 2세가 될 때쯤이면 20개의 유치가 모두 난다고 합니다.
아기 이앓이의 주요 증상
아기 이앓이는 치아가 잇몸을 뚫고 나올 때의 불편감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침을 많이 흘림
-
잇몸이 붉어지고 부어오름
-
손이나 물건을 자꾸 입에 넣고 물기
-
이유 없는 짜증과 울음 증가
-
수면 장애 및 식욕 저하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이며, 치아가 완전히 나오면 점차 완화됩니다.
이앓이와 감기, 장염 등의 증상 구별하기
아기가 침을 많이 흘리고 칭얼대면 감기나 장염 등 다른 질병과 헷갈리기 쉽습니다. 감기나 장염의 경우 발열,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지만, 이앓이는 주로 잇몸 붓기와 침 흘림, 약한 열(미열) 정도로 그칩니다.
이앓이를 위한 현실적인 대처법
-
치발기 활용하기: 차가운 물에 담가두었다가 주면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차가운 수건: 차갑게 적신 깨끗한 수건을 아이에게 씹게 하면 잇몸 진정에 도움이 됩니다.
-
부드러운 잇몸 마사지: 깨끗한 손이나 실리콘 손가락 칫솔로 부드럽게 잇몸을 마사지해 주세요.
-
수분 보충: 침을 많이 흘리면 수분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자주 수분을 보충해 주세요.
이앓이 진통제, 꼭 써야 할까요?
심한 불편감을 느끼는 아이의 경우, 해열제나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다만, 사용 전에 반드시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육아 중 실전 팁
이앓이 시기는 아이마다 다릅니다. 다른 아이와 비교하거나 불안해하지 마세요. 중요한 건 아이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차분하게 대처하고, 아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부모님이 먼저 여유를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Q&A)
Q1. 이앓이가 시작되면 얼마나 지속되나요?
-
일반적으로 한 개의 치아가 나오는데 며칠에서 몇 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Q2. 첫니가 늦게 나오면 문제가 있나요?
-
아닙니다.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므로 만 1세 이전까지 첫니가 나오지 않으면 소아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Q3. 이앓이가 심해도 병원에 가야 하나요?
-
아이가 일상생활에 심한 불편감을 느끼거나 발열, 설사 등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소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4. 치발기는 어떤 제품이 좋나요?
-
안전성 인증을 받은 BPA 프리 제품,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부드러운 제품이 좋습니다.
논문 출처
-
"유아기 구강 발달 및 관리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23.
-
"치아 맹출 시기에 나타나는 증상과 보호자의 인식", 한국소아과학회지, 2022.